본문 바로가기
영어 문법

3. 조동사

by 다오나무 2020. 1. 11.

[ 문법용어 설명]

나는 햄버거를 먹는다.

I eat a hamberger.

 

1. 주어(Subject): 주체, ~은/는/이/가

2. 동사(Verb): 행동 또는 상태

3. 동사원형

 

저기위에 동사원형은 eat  이다

 

[ Can & May ]

He can draw a dinosaur.

She may go in now.

 

그리다 라는 말이 can을 써서 그릴 수 있다 이렇게 된다

들어가다 지금 라는 말이 may를 써서 들어가도 됩니다 라는 말이 된다

may는 됩니다 라는 뜻이 된다

 

조동사(한자로 도울 "조"짜 조동사)는 의미를 더해준다

 

조동사뒤에는 동사 ! 조동사 + 동사

 

 

Dogs can swim.

개는 수영할 수 있다. <능력>

You can come to my party.

너는 내 파티에 와도 돼. <허가>

Can you ride a bike?

너는 자전거를 탈 수 있니? <능력>

 

Can이 능력을 뜻하는지 허가를 뜻하는지는 맥락상 판단을 하는거다

이건 규칙이 정해진게 아니다

 

 

check out : 빌려가다 대출하다 라는 의미

 

You cannot check out any books.

너는 책을 빌릴 수 없어. <허가>

It cannot be true.

그것이 사실일 리가 없다. <가능성>

 

 

[ can ]

- 의미 : '~할 수 있따(능력, 가능)', '~해도 좋다(허가)'

  주어 + can + 동사원형

  주어에 따라 can의 형태가 바뀌지 않음.

- 부정문 : cannot[can not, can't]

- 의문문 : 주어 앞으로 can을 이동

 

 

You may pay in cash

현금으로 내셔도 됩니다. <허가>

Take an umbrella with you.

It may rain today.

우산 가져가렴. 오늘 비가 올지도 몰라. <추측>

 

may 가 조금 더 허락의 느낌이 아주 조금더 강하다

 

[ may ]

의미 : '~해도 좋다(허가)', '~일지도 모른다(약한 추측)'

주어에 따라 may의 형태가 바뀌지 않음

주어 + may + 동사원형

부정문 : may not

의문문 : 주어 앞으로 may를 이동

 

may not은 줄여서 쓰지 않는다 대부분 mayn't는 있긴있는데 거의 보긴 어렵다

 

 

[ can & may 비교 ]

can  능력   허락    추측   can be true

                                  cannot be true

may          허락     추측   may be true

                                   may not be true

공통점 : can, may + 동사원형  

           의문문

           부정문

 

He comes home

He may come home

 

He is hungry

He may be hungry

 

 

can하고 may는 바꿔쓸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왔다갔다쓸수있다 정말 아주 아주 엄격하게 따지자면 다르다

can의 뿌리를 보자면 능력의 의미가 있다

pay의 뿌리를 보자면 허락, 추축의 의미가 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can을 가지고 may처럼 왔다갔다하며 쓸수있게 된거다

왔다갔다하며 쓸수있는데 뿌리는 다르다 라는말이 하고싶었다

요즘은 왔다갔다하며 쓸수있다

아래를 보자 

cannot be true : 할수 없다 그럴수없다 그럴리 없어 (부정이다)

may not be true : 아닐수도있어

뿌리도 이렇게 은근히 중요하다

 

그는 배고플 수 있어 he may be hungry

그는 집에 올 수도 있다 he may come home

 

he is hungry에서

is의 동사원형인 be를 꼭 써야한다 he may be hungry

 

 

 

[ Must & Have to ]

You must wear a helmet.

You don't have to wear sunglasses.

 

must 랑 have to 둘다 무엇무엇을 해야한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조동사다

 

 

must는 틀림없어 라는 확신을 가지고 잇다.

그래서 must는 해야한다, 뭐뭐임에 틀림없다라는 의미가 있다

have to(has to) 는 그에 비해서 뭐뭐해야한다 라는 의미만 가지고 있다

 

 

He didn't eat lunch. He must be hungry.

그는 점심을 먹지 않았다. 그는 배고픈게 틀림없다. <확신>

 

She has to finish her homework by 5.

그녀는 5시까지 숙제를 끝내야만 해. <의무>

(=She must finish her homework by 5.)

 

Do you have to hand in the essay now?

너는 그 과제물을 지금 내야 하니? <의무>

 

Must you go?

당신은 가야만 하나요? <의무>

must를 가지고 잘 질문하지는 않는데 쓸면 이렇게 위에처럼 쓴다

 

You Must not tell anyone this secret.

너는 이 비밀을 그 누구에게도 애기해서는 안 된다. <금지>

 

You don't have to worry about it.

너는 그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 없어. <불필요>

 

have to 는 일반동사 don't를 넣고 부정문을 만든다

 

must는 뒤에 not을 쓴다

 

must는 굉장히 강한 느낌이다 꼭해야하는 법이나 규칙을 의미한다

 

[ must & have to 비교 ]

둘 다 '~해야만 한다'의 의미

  must have to
평서문 주어에 따라 must의 형태가 바뀌지 않음.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has to
의미 의무, 확신 의무
의문문 Must + 주어~? Do/Does + 주어 + have to ~ ?
부정문 must not

don't have to

doesn't have to

 

[조동사]

주어 + 조동사 + 동사원형

[ 조동사의 종류 ]

1. 능력/허락/가능성: can, may

2. 조언/필요성/의무 : should, must, need to(의무), have to

3. 미래시간 : will, be going to

 

should : must 보다는 살짝 약하다 (이건 하면 좋다)

need to : 할 필요가 있다 (have to 보다 뭐뭐해야돼 보다 약간 연한 의미)

 

 

'영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시제  (0) 2020.01.21
2. 일반동사  (0) 2020.01.09
1. be 동사  (0) 2020.01.08